#최적화
AWS Lambda Cold Start 최적화 - 2부
AWS Lambda Cold Start 최적화 여정 Part 3: 실행 및 검증 데이터 기반 최적화의 실제 적용 1부에서는 "첫 로딩 지연" 문제의 원인이 프론트엔드 Lambda의 긴 콜드 스타트 시간임을 데이터로 증명하고,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종 전략으로 "Lamb...
Lambda 콜드스타트 최적화로 진입 속도 개선 - 1부
AWS Lambda Cold Start: Next.js SSR 블로그 진입 성능 개선 서론 Deep Dive! 블로그의 프론트엔드는 Next.js와 서버리스 기반으로 Lambda에 Docker이미지 형식으로 저장되어 실행된다. 프론트엔드는 Next.js App Rout...
[모니터링] Sentry 도입으로 오류 관리
Next.js + Hono 모노레포 환경에 Sentry 도입 도입: 왜 Sentry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나? Deep Dive! 블로그의 기능이 점차 확장됨에 따라, 예측하지 못한 에러를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. 특히 프론트엔드에서 에러가 예상...
[백엔드 리팩토링-2] 백엔드 코드 리팩토링 : 책임 분리
2. 백엔드 리팩토링 : 거대해진 라우터 분리하기 서론: 계획을 현실로 이전 포스팅 [1.백엔드 리팩토링 계획단계](https://blog.jungyu.store/posts/d220350af95d4c16a137ec53c33d4cdd)에서는 posts.router.ts ...
[백엔드 리팩토링] 백엔드 코드 리팩토링 : 책임 분리
1. 백엔드 리팩토링: 비대해진 라우터 파일을 3계층 아키텍처로 분리하기 서론 프로젝트의 백엔드는 MVP 개발부터 현재까지 Hono 프레임워크 기반의 서버리스 아키텍처(AWS Lambda, DynamoDB)로 진행해왔다. 초기에는 단일 람다 함수에서 모든 API 라우팅...
[프론트엔드 고도화-3] 상세페이지 번들링 최적화
3 Next.js 번들 분석: reactsyntaxhighlighter 최적화로 초기 로딩 JS 210kB 절감하기 주요 기능인 다크 모드(Dark Mode) 도입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, 프로젝트는 한 단계 더 성숙해졌다. 하지만 기능의 추가는 필연적으로 코드베이스의 ...
[프론트엔드 고도화-2] 성능 최적화
2 Dynamic Import로 댓글 섹션 지연 로딩하기 이번에 진행한 댓글 섹션 지연 로딩은 Deep Dive!의 블로그 프로젝트의 성능 최적화 과정의 일부로, 게시물 상세 페이지의 초기 로딩 속도를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했다. 문제점: 불필요한 초기 로딩 기존 구조에...